-
목차
반응형걷기는 우리가 매일 반복하는 운동이다.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 몸은 걷는 자세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걷기 자세가 똑바르지 않기 때문에 자연히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비틀어지게 마련이며 이로 인해 몸의 구조적 불균형이 조성된다. 팔자걸음과 두 발끝이 안쪽으로 모이는 안짱다리걸음으로 인한 우리 몸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수정해 주는 운동으로 균형을 회복하자
팔자걸음 수정요가
고관절바로잡기 앞뒤로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자세에서 앞다리의 무릎을 구부리고 발끝이 정면을 향하게 한 다음 뒤쪽 다리는 쭉 편다. 두 팔을 뻗어 양손을 앞쪽 무릎 위에 깍지 껴서 놓고 상체는 곧게 편다. 골반은 아래로 낮추면서 앞쪽 다리에 체중을 싣고 뒤쪽 다리는 더욱 멀리 밀면서 10초간 정지한다. 이 동작을 2-3회 반복한다.
운동효과 - 무릎을 앞뒤로 벌려주어 팔자걸음에 의해 삐뚤어졌던 고관절 구조가 정상적인 모양으로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이다.
결기부좌로 앉기
바닥에 앉은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먼저 구부려 발등을 반대쪽 허벅지 위에 골반 가까운 곳에 깊숙이 놓고 다른 쪽 발등도 반대쪽 허벅지의 같은 위치에 올려놓는다. 두 손은 양쪽 무릎 위에 편안하게 내려놓는다.
운동효과 - 이자세를 자주 취해주면 발등이 늘어나게 되어 팔자걸음으로 경직되었던 바깥쪽 발등이 부드럽게 풀어진다.
안짱다리 수정 요가
안짱다리 걸음은 하체의 구조가 오리궁둥이와 같고 발등이 늘어나 발끝이 서로 안쪽으로 모이는 걷기 자세이다. 이미 굳어진 자세라도 이와 반대되는 수정 운동으로 관절들을 풀어주고 자세를 교정해 나가도록 하자.
발끝 양쪽으로 벌리고 앉기
무릎을 꿇고 앉아 발끝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종아리를 허벅지 양옆으로 옮긴다. 이 자세로 20-30초 정지한다. 이자세로 앉는 것이 힘들 때 에는 한쪽 다리씩 번갈아 구부리고 앉다가 차츰 좌우를 동시에 연습한다.
운동효과- 안쪽으로 모였던 발끝이 벌어지는 훈련이 되어 안짱다리걸음이 점차 개선된다.
반응형'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잠 자세 수정 요가 (0) 2023.04.17 수면 자세를 위한 요가 (0) 2023.04.17 요실금 증상에 좋은 요가 (0) 2023.04.16 산전요가 (0) 2023.04.15 요통을 치유하는 요가 (1) 2023.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