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또 만나요.

  • 2023. 5. 7.

    by. 니드모어

    목차

      반응형

      가부좌자세란?

      앉은 모양이 연꽃 같아서 '연꽃좌법'이라고도 불리는 이자세는 한쪽 발을 반대편 다리 위에 얹고 상체를 곧게 세워 앉는 것으로 신체의 반수직과 반수평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운동 도중 숨이 가빠지면 이 자세로 앉아 복식호흡을 숨을 고르도록 한다. 이자세는 무엇보다 명상의 기본자세로, 눈을 편안하게 감고 앉아 과거 삶에 대한 반성이나 다각적 안목에서의 이해, 삶의 지혜에 대한 깨달음을 위해 조용히 자신을 수련하도록 한다.

       

      결가부좌 자세 하는 방법

      바닥에 앉아 한쪽 발등을 반대쪽 허벅지에 깊숙이 올려놓는다. 나머지 한쪽 발등도 들어 반대쪽 허벅지의 같은 위치에 놓는다. 허리를 쭉 펴고 손은 무릎 위에 가볍게 올려놓는다.

      반가부좌 자세 하는 방법

      결가부좌 자세를 취하기 힘든 사람은 한쪽 발만 반대쪽 허벅지에 올리고 다른 발은 편안하게 반대쪽 허벅지 아래에 두는 반가부좌 자세로 앉는다. 양쪽 다리 중 어느 쪽을 위로 올릴 때가 불편한지를 찾아 불편한 쪽으로 앉도록 한다.

      허리부터 등, 머리까지 상체를 숙여 다리에 닿도록 한다. 이때 이마가 무릎 아래쪽에 닿지 않으면 다리 뒤쪽이나 허리뒤쪽 근육이 수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한쪽 다리씩 펴고 연습하여 부드러워지도록 한다. 등은 많이 구부러지거나 허리가 잘 구부러지지 않는다면 턱을 들고 머리가 최대한 발 가까이 가도록 앞으로 내밀어 허리뼈(요추)가 앞으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두 다리를 쭉 펴고 앉아 손으로 두 발끝을 잡는다. 발끝을 잡기가 어려우면 발목을 잡도록 한다.

      반응형